여러 사람들과 하나의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해 협업하는 툴로 GitHub을 사용하려고 합니다.
Git은 소스코드의 버전관리를 용이하게 해주는 프로그램으로 Sourcetree와 같은 UI 프로그램과 함께 사용하면 편리하게 코드 관리를 할 수 있습니다.
준비하기
1. GitHub 가입하기
github.com 에서 회원가입을 하고 로그인 합니다.
2. Sourcetree 설치하기
https://www.sourcetreeapp.com/에서 설치파일을 다운로드하여 프로그램을 설치합니다.
git clone
클론이란 다른 사용자들이 만들어둔 소스코드를 내 컴퓨터에 복사해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입니다.
Zip 파일로 다운받아 사용하거나 URL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.
Sourcetree에서는 URL을 사용하여 간단히 클론할 수 있습니다.
URL에서 복제를 눌러 복사한 주소를 붙여넣으면 아래 경로 및 이름은 자동으로 생성됩니다. 경로는 수정할 수 있으니 확인한 후 클론 버튼을 눌러 완료합니다.
파이참에서 클론한 프로젝트 열기
열기(Open)을 눌러 앞서 클론한 경로의 프로젝트를 선택해 열고, 코드를 실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절차로 사용 준비를 완료합니다.
- venv 구성
프로젝트를 열었을 때 venv를 생성하겠냐는 창이 뜨면 OK를 눌러 생성합니다.
하지만 창이 뜨지않거나 혹은 제대로 생성이 되지 않았을 경우엔 Settings(혹은 Preference)으로 가서 직접 생성해줍니다. - 필요 패키지 설치
하지만 창이 뜨지않거나 혹은 제대로 생성이 되지 않았을 경우엔 Settings(혹은 Preference)으로 가서 직접 생성해줍니다. - 데이터베이스 구성
터미널에서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여 데이터베이스 설정을 합니다.
python manage.py makemigrations
python manage.py migrate
다수의 사용자와 Git을 통해 협업하기
Git에 올려둔 소스코드를 다수의 사용자가 클론한 뒤 각자 로컬에서 수정하고, 수정사항을 검토한 후 하나의 소스코드로 합쳐 관리할 수 있습니다.
브랜치 만들기
원본인 메인코드를 수정하기 위한 새로운 환경으로 브랜치를 생성합니다.
새로운 브랜치를 생성하면 왼쪽 메뉴바에 main 아래에 생성한 브랜치가 보여지고 해당 브랜치가 선택되어있음을 동그라미 아이콘으로 표시해주고 있습니다.
소스코드 수정 후 커밋 하기
수정된 소스코드가 있는 경우 파일상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이 중에서 적용하고 싶은 파일을 선택하여 스테이지에 올려두고 어떤 작업을 한 것인지 알아볼 수 있게 로그를 적어 커밋을 누릅니다.
Git으로 푸시하기
상단 메뉴 중 `푸시` 버튼을 눌러 커밋했던 내용을 Git에 올리는 작업을 할 수 있고,
커밋하는 과정에서 커밋 로그 아래에 즉시 푸시 체크박스를 선택하여 커밋과 동시에 푸시할 수 있습니다.
푸시하는 과정에서 로그인 인증을 요구하는데 이는 개인 토큰으로 인증을 해야 합니다. (PW를 토큰으로)
우선, 자신의 Git의 Settings > Developer settings로 이동하여 `Personal access token`을 생성합니다.
이 때 생성 시 나오는 토큰은 다시보기가 안되므로 꼭 복사해둡니다.
혹시나 푸시할 때 아래와 같이 오류가 나타나면 프로젝트 소유자는 코드를 수정할 수 있는 개발자들을 추가하는 작업을 통해 권한을 부여합니다.
푸시가 완료되면 Git 페이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히스토리 업데이트 하기
사용자들이 소스코드를 수정한 내역을 히스토리에서 확인하기 위해 상단 메뉴 중 `패치`를 눌러 업데이트 합니다.
'Django(웹서비스 만들기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7주차] 여러 서비스 연계하기 (0) | 2022.01.08 |
---|---|
[6주차] AWS에 웹 서비스 배포하기 (0) | 2021.12.29 |
[4주차] 사용자별 정보 다르게 출력하기 (0) | 2021.12.16 |
[3주차] 회원가입, 로그인 만들기 (0) | 2021.12.07 |
[2주차] DB를 활용한 웹 페이지 띄우기 (0) | 2021.12.01 |